정보의 바다 (326) 썸네일형 리스트형 양자역학과 시크릿(secret) 최근 물리학에서 밝혀진 사실은 뉴턴역학, 아인슈타인의 이론 개념들을 처참히 박살내었습니다. (아인슈타인은 양자역학에 죽을때까지 거부했었고 그것을 증명하려다가 서서히 잊혀진 인물입니다.) 어쨋든 20세기 초 물리학자들은 물질의 최소단위를 원자라고 믿다가 양성자, 중성자, 전자등을 발견해냅니다. 근데 이 전자의 운동을 연구하던 중 어느 한 시점의 전자의 운동을 정확히 기술할 수 없다는 걸 알아냅니다. 이게 불확정성의 원리이죠. 더구나 이 전자는 '이중슬롯'실험에서 파동의 성질을 보입니다. 그러나 관찰자가 전자를 관찰하려는 때에는 어떻게 알고 입자로 변환됩니다. 신비로운 성질이죠. 연구가 더해질수록 물질은 확률적분포로 존재한다라는 사실만을 알게 됩니다. 안그래도 원자도 몰라서 죽겠는데 원자핵보다 작은 미립자들.. 태호 복희, 여와가 들고 있는 것은? 다음 그림은 태호복희, 여와의 그림들이다. 복희 여화도라고 불리는 것들인데 그들을 뱀으로 표현한 것도 심상치 않지만 복희와 여와가 서로 들고 있는 것들을 잘 보아라. 콤파스와 직각자... 어라? 어디서 많이 본 조합이 아닌가? 혹시 이건 아니겠지??? 무슨연관성이 있을까? 이 둘의 관계에는? 그나저나 태호 복희, 여화를 왜 뱀으로 표현해야 했을까? 혹시 이것이 기독교의 뱀과 관련있는 것은 아닐까? 빛보다 빠른 입자를 발견했다는데... CERN이 드디어 일을 냈다. 사실 개인적으로는 CERN에서 힉스 입자를 발견했다는 대단히 아름다운 소식을 듣기를 원했는데 중성미자가 빛보다 빨랐다라는 소식을 듣고 허탈하면서도 그 의미를 생각하느라 머리가 지끈하다. 기본적으로 아인슈타인에 의해 빛보다 빠른 물질은 없다고 가정되었고 모든 우주 이론과 형태가 구축되었는데 빛보다 빠른 물질이라니... 그렇다면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은 틀렸다고 해야하나? 사실 그렇지는 않다...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도 미립자 세계에서는 딱 들어맞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통일방정식을 물리학자들이 그렇게 찾아다니지 않았다. 마치 적당한 오차내에서는 뉴턴의 물리학이 딱들어맞지만 물질계의 속도가 빛에 가까워질수록 뉴턴물리학은 엉망이 되어버리는 것과 같지 않을까.. 마치 더 복잡해.. 진입장벽 Barriers to Entry : 진입장벽. 어떤 기업이 해당 산업에 진입하면서 느끼는 어려움의 정도. 이미 시장이 형성되어 있는 산업의 경우, 경쟁업체가 많을수록 기술보유정도가 많이 존재해 있을 경우 등에 진입장벽이 높다고 할 수 있다. 2) Mobility Barrier : 이동장벽. 다른 기업들이 자사와 비슷한 전략을 사용하는 것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 경쟁자들이 모방하기 힘든 경쟁우위를 만들려면 이동장벽을 구축해야 한다. 3) Exit Barrier : 퇴출장벽. 저수익 또는 투자손실이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회사가 사업에서 철수하기 못하 게 하는 경제적, 전략적, 정서적 요인을 말함. 특화된 자산이나 특정사업에 대한 경영진의 애착이 깊으면 수익이 떨어지거나 수익률이 마이너스인 경우에도 경쟁을 가속.. Hydro Crane 500ton (Luffing) T/C 해체중 (일명 마징가) - 500ton 급 하이드로 크레인 - 임대료 : \23,000,000~\26,000,000 (1일 기준, 50ton 보조 크레인 포함) lotto data (374회~409회) 아... 노가다... 더이상 만들기 힘드네... 첨부파일로 배포하니 우리모두 분석해보세~~ 근데 만들어놓고 보니 영 규칙이 없어.... 지진현황을 실시간으로 알려주는 사이트 전세계에서 발생하는 지진을 실시간으로 알려주는 사이트가 있어서 소개할까 합니다. http://www.iris.edu/seismon/bigmap/index.phtml 위 사이트를 클릭해보시면 위 그림과 같은 지진현황이 보이는 데요 크게 지진의 강도와 발생시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진의 강도는 원의 크기로 가늠할수 있구요 발생시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Today - 금일 발생한 지진 Yesterday - 어제 발생한 지진 Past 2 weeks - 지난 2주안에 발생한 지진 Past 5 years - 지난 5년안에 발생한 지진 보면 일본에서는 계속 지진이 발생하고 있고 최근 발생한 강도 8이상의 강진도 표현 되어 있네요. 이것을 보면 지진이 자주 발생하는 지역과 현재 지진이 발생하는 곳을 확인할 수 있어서.. 경영학은 과학인가 기술인가? 경영학은 하나의 학문으로써 자리잡고 있다. 경영학이라는 학문은 기업 현실에서 발생되는 여러 경영적인 문제를 분석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요구되는 새로운 경영방식을 위한 아이디어를 발굴,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경영학을 비롯해 여러 사회과학이라고 칭하는 학문들은 다양한 사회 현상을 사회 내부에서 인간과 관련하여 일어나는 현상을 연구한다. 경영학도 이와 마찬가지로 조직체의 경영현상에 대한 과학적 설명과 예측을 통해 조직경영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데 그 목적과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경영학의 학문적 발전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이론개발을 해야 하는데, 이론개발을 위해서는 과학적인 접근방법이 필 수적이다. 학문적 성격뿐 아니라 그 연구방법 또한 과학적이여야 함은 분명하다. 연구방법이라 함은 연구대상인 .. 이전 1 ··· 35 36 37 38 39 40 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