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화야 놀자

사도세자의 넋을 위로하는 영화 <사도>

생각할 사(思), 서러울 도(悼)

사도세자의 이야기는 조선역사상 가장 비극적인 장면 중 하나입니다. 아버지 영조가 그의 아들 세자를 뒤주에 가둬 죽게 만든 사건은 왕가(王家)의 무자비함을 여실히 보여주는 사건이 아닐까 싶습니다. 이번에 개봉한 영화 사도는 식상할지 모르는 소재를 아버지와 아들의 관계만을 부각하여 우리가 알고 있는 역사적 사실과 추측하는 일련의 가정들이 잘 어우러진 영화라고 평가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이준익감독의 이야기를 끌어내는 능력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는 명작이였습니다.

 

이 영화는 상당히 많은 부분에서 역사적 사실을 그대로 인용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특히, 영조가 세자에게 한 이야기들은 상당수 사료에 명시된 것들이였죠. 그런 딱딱한 문헌들을 실제 이야기로 만들어 관객들에게 육성으로 들려주는 것은 다른 사극영화에서 지나친 상상력으로만 그려진 것에 비해보면 너무나 흥미로웠습니다. 그렇다고 역사적 사료에만 치중한 것은 아니였습니다. 사도세자의 죽음의 원인을 당파싸움의 결과라고 하는 주장과는 적당히 거리를 두었습니다. 

이준익 감독은 철저하게 아버지 영조와 아들 사도세자(본명 '이선')의 갈등에 촛점을 맞추었습니다. 

 

영조

 

사도세자

 

역사기록에서도 이 둘의 갈등은 정말이지 대단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세자가 태어날 때는 그토록 기뻐하던 영조가 세자가 무(武)에만 관심을 가지는 것을 탐탁치 않게 생각하면서 점차 질타와 질책만을 주었습니다.

 

또한, 영조가 공부를 게을리하는 세자에게 "글을 읽는 것이 좋으냐, 싫으냐"라고 물었을 때 "싫을 때가 많습니다"라고 답한 세자가 얼마나 한심해 보였을까요. 

 

대리청정할 때는 또 어땠나요. 영조는 사도세자가 어리석다 생각했을 것이고 왕 다운 모습을 갖추지 못했다라고 생각했을 것입니다. 사도세자는 아버지 영조가 너무나 무섭고 두려웠을 것입니다.

 

사도

 

이는 비단 영조뿐 아니라 우리 아버지들도 그럴 것이고 자식을 둔 우리의 생각도 마찬가지일것이라 생각합니다. 영화 마지막에 영조가 얘기했듯 왕가라서 더욱 모질었던 것도 이해는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나친 부모의 기대와 강요는 자녀에게 비극이 될 수 있습니다. 자식이 잘되는 것을 바라는 것이 부모의 사랑 중 하나일 수는 있으나 맹목적인 사랑보다 우선되어질 수는 없는 것이죠. 

 

아버지는 아들의 거울이자 기댈 언덕입니다. 사랑을 주길 바라는 존재이기도 합니다. 이런 것들이 무너질 때 겪는 자녀들의 슬픔은 스스로 또는 주변인들에게 폭력으로 변화되기 마련입니다. 실제로 사도세자는 여러 사람들에게 해코지를 하거나 죽이는 기행을 보였습니다. 이 또한 권력의 폭력이지만(죽임을 당한 자들의 원혼은 누가 달래줄까요) 여리디 여린 세자의 다른 모습이기도 합니다.

 

 

유아인

 

이준익감독은 숨막히는 아버지 영조로 인해 미쳐가는 사도세자를 위로하고 싶었나 봅니다. 영화를 보는 내내 영조의 입장보다는 사도세자의 슬픔에 집중되었습니다. 아니면 저 또한 사도세자의 입장이 이해가 되는 기억을 가지고 있었는지도 모르겠습니다만은, 전체적인 영화의 모습이 사도세자의 '천도제'와 같은 느낌이였죠. 마지막에 대화가 단절되었던 두 부자(父子)의 화해의 모습을 통해 사도세자의 넋을 위로해주고 싶었지 않을까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리고 저 또한 아버지로 인해 미쳐간 사도를 위로해 주고 싶었습니다.

 

 

그래서 영화 <사도>는 제게 너무나 슬펐습니다.

슬픈이야기이기도 하지만 부모와 자식관계에서 정상적인 사랑을 주고받지 못한 자들의 아픔이 현재진행형으로 느껴지는 것 같았습니다. 오직 배경만 다를 뿐이죠. 그래서 이 영화는 사극이 아니고 가족의 이야기입니다. 

 

<p.s> 송강호와 유아인의 미친 연기력은 미처 이야기를 못했는데 송강호의 눈빛과 표정만으로 감정을 전달하는 능력과 유아인이 보여준 캐릭터에 대한 놀라운 집중은 영화의 수준을 몇단계 상승시켰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듯 합니다.